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크롬을 쓰면서 갑자기 쇼핑몰 북마크가 자동으로 추가되거나, 새 탭이 열릴 때마다 쇼핑몰 페이지가 나타나는 불편함을 겪었어요.

처음엔 뭐가 문제인지 몰라서 인터넷도 뒤지고 했는데, 결국 직접 컴퓨터 안을 들여다보고 분석해 보았습니다!
 
Chat GPT 에게 도움을 받아 간단히 해결 했습니다.
 


 

🖥️ 문제 발생 상황

  • 크롬을 켤 때마다 평소와 다르게 자동으로 쇼핑몰 북마크가 추가돼 있어요.
  • 새 탭을 열면 알 수 없는 쇼핑몰 사이트가 자동으로 열려서 매우 불편했습니다.
  • 악성 코드로 판단 해서 뒤져보기 시작했습니다.

 


 

🔍 직접 분석 시작!

  1. 우선 설치된 프로그램들을 봤지만 수상해보이는 프로그램은 없었습니다.
  2. 먼저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Chat GPT 에게 분석 시켜 보고 싶어서 명령어를 물어봤습니다. CMD 에서 간단하게 뽑아낼 수 있더라구요.
    tasklist > process_list.txt
     위 명령어로 추출한 txt 파일을 Chat GPT 에게 문의하니 분석을 해 주었습니다.
    이름이 대놓고 수상한 tabservicepack.exe 라는 프로세스가 상시 실행 되고 있더라구요.
    애플리케이션 목록에는 없는 프로그램 이었습니다.
  3. 각 프로세스의 위치 확인을 위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서 파일로 뽑아내고, 역시 Chat GPT 에 업로드 했습니다.
    wmic process get name,executablepath > proc_paths.txt

    Chat GPT 가 tabservicepack의 위치를 찾아줬어요.


  4. 해당 디렉토리에 가보니 유명 쇼핑몰 URL이 가득 담긴 XML 파일과 함께 실행 프로그램이 존재했습니다!
    파일 이름이 너무 대놓고 악성코드더라구요. (파일 목록 : ad_config.xml, ad_shortcutbookmark.xml, tabservicepack.exe)

 
 
 
 
 


🛑 악성코드 확인!

이 XML 파일과 실행 프로그램을 ChatGPT에 올려 분석해 보니…
명확한 악성코드로 확인되었습니다!
자동으로 쇼핑몰 북마크를 추가하고, 새 탭을 통해 광고성 페이지를 여는 악성 프로그램이 분명했습니다.
프로세스를 강제로 중단 하고, 해당 디렉토리는 삭제를 해주었습니다.
 
우선 컴퓨터를 사용하며 같은 문제가 반복 되지 않는지 확인해봐야겠어요.


✅ Chat GPT 가 남겨준 교훈

  • 모르는 프로세스나 폴더가 있다면 꼭 경로와 파일을 확인하세요.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악성코드 의심 시, 파일 내용을 꼼꼼히 분석하거나 전문가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특히, 인터넷 쇼핑몰 관련 악성코드는 사용자 몰래 광고를 퍼뜨리거나 개인정보를 빼낼 위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해리팍
BLOG main image

Chanhyun Park (해리팍)
Software Engineer @ SK hynix

Contact Info.
parkch0708@hanmail.net
chanhyun0708@gmail.com
chanhyun.park@sk.com

카테고리

All (1520)
Profile (2)
Park's Life (601)
Smart Home (IoT) (4)
Computer System (166)
Computer Programming (39)
Computer Study (54)
Computer Etc. (189)
Scuba Diving (137)
Golf (8)
Traveling (256)
생활 정보 (13)
Pokemon GO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