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s Life/전문연구요원

[전문연구요원] 6. 전문연구요원 여권 발급 받기

해리팍 2016. 1. 19. 22:39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 (http://harryp.tistory.com/230) 에서는 전문연구요원의 해외여행 방법, 국외 여행 허가와 관련된 내용을 다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 여팽의 필수품, 여권 발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의 대한민국 남자라면, 성인이 되는 순간 부터 여권 맨 앞면에 스티커가 하나 붙습니다.


'24세 까지만 병무청 허가 없이 국외 여행이 가능하다' 뭐 이런 내용인데요...






실제로 미필일 경우 병무청 허가 없이 발급 받은 여권은 유효기간이 24살 되는 해 12월 31일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5살 부터는 병무청에서 국외 여행 추천서를 받아야 여권 발급이 가능하고, 그나마도 발급 가능한 여권은 1년 복수 여권 또는 단수 여권입니다.


---------------------------------------------------------


* 2020.08.23 추가 사항


댓글로 좋은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https://www.passport.go.kr/new/board/data.php?idx=5144&sel=1%20


를 참조하시면, 미필자라도 5년 복수 여권을 발급 받을 수 있도록 여권 발급 제도가 개선 된다고 하네요.




---------------------------------------------------------


* 2016.05.17 추가 사항


외교부의 여권 안내 페이지를 보니 1년 이상 복수 여권도 만들 수 있네요.


다음은 외교부 여권 안내 사이트의 '자주 묻는 질문' 페이지 (http://www.passport.go.kr/issue/faq_01.php)에 있는 답변 내용입니다.


Q. 병역미필자의 경우 복수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A. 병역서류 없이 24세가 되는 해까지 복수여권(최장 유효기간 5년)이 발급되며, 25세 이상 37세 이하의 병역미필자는 병무청에서 발급한 국외여행허가서의 허가기간에 따라 유효기간이 부여됩니다. 

  

-국외여행허가기간이 1년 이상 : 국외여행허가기간까지 유효한 복수여권 

-국외여행허가기간이 6개월 이상 1년 미만 : 1년 복수여권

-국외여행허가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 1년 단수여권 


즉, 국외 여행 허가를 6개월 이상 받게 되면 복수 여권 발급이 가능하네요.


전문연 편입 전, 여권 발급 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권 발급처에 계시는 분들도 잘 모르시는 내용이라...


숙지를 하시고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여권 발급처에서는 단수 여권밖에 안된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론 1년 복수여권 까지 가능합니다.)


그리고 전문연구요원이 되는 순간부터는 '국외 여행 허가'를 받아야 여권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전문연구요원이 되는 해 부터는 5년 복수 여권 발급이 가능해집니다.





(1999년 발급한 첫 여권 부터, 전문연구요원이 되기 직전인 2014년까지 발급한 여권들... 3년간 1개 꼴로 발급을 받았네요.)



먼저, 국외 여행 허가 부터 받아야 합니다.


국외 여행 허가 받는 방법은 지난 포스팅 (http://harryp.tistory.com/230)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종 허가를 받게 되면, 병무청 민원포털에서 국외 여행 허가서를 출력 할 수 있습니다.


병무청 홈페이지 (http://www.mma.go.kr) 에 가셔서 '병무민원포털 -> 국외여행/체재 -> 국외여행 허가사항 조회' 를 클릭하시면,


병무청에서 국외여행 허가 받은 내역이 뜨고,


해당 내역을 인쇄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권 발급 시 필요한 것들 (신분증, 여권사진, 발급 수수료)와 함께 국외여행 허가서를 함께 제출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5년 복수 여권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5년 복수여권 24면 짜리가 42000원, 48면 짜리가 45000원 이었습니다.


어차피 전자여권으로 받고, 자동 출입국 심사 서비스를 신청할거라 (한국 입, 출국시 도장을 안찍어도 됩니다.),


또 두껍고.. 비싸기도 하니... 24면 짜리로 발급받았습니다.


해외 여행을 갈 때 가장 필요한 것이 여권이니 미리미리 준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